통합 검색

통합 검색

컴퓨터활용능력1급 함수 배열수식
  • 작성자 관리자
  • 조회수 51
2025-08-14 14:11:21

컴퓨터활용능력1급 함수 배열 수식

 

대부분 함수를 공부하다 보면 배열 수식에 막혀 진도가 나가지 않는다.

배열 수식은 이 네 가지 형식만 이해하면 다 풀 수 있다.

아래 설명을 이해한다면 배열 수식 혼자 할 수도 있다.

이해가 잘 안되면 학원 도움을 받으셔야 합니다.

 

형식 1

=sum((조건) * 계산범위                 다른 함수는 sum 대신 사용하면 된다.

여기서 조건은

○ □ ○      ○ 2개를 비교한다.

그럼 자리는 비교할 수 있는 비교연산자를 쓰면 된다.

 

○         □          

함수,    > (초과)    , 함수,

값 등     < (미만)

           = (같다, 이다, 이고, 이면서, 이거나, 이면, 이며, ...)

           >= (이상, 이후)

           <= (이하, 이전, 이내)

           <> (같지 않다)

 

여기서 배열 수식

조건 앞 에 조건 범위를 지정한다.

   ○               □            ○

조건범위

ex)

{=sum(($a$5:$a$20 = “영업부) * $b$5:$b$20)}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조건범위              조건                 계산번위 

(중괄호는 Ctrl + Shift + Enter 를 치면 나타난다(배열 수식을 의미))

 

위 예에서 보듯이 a5영업부가 있으면 조건이 참이 되어 b5를 더하게 된다

이렇게 마지막 a20 까지 비교하면서 계산을 하는 것이 배열 수식이다. 

sum을 이용한 배열 수식에서 개수를 셀 때는 계산 범위에 1 만 쓰면 된다.

ex)

{=sum(($a$5:$a$20 = “영업부) * 1)}

이렇게 하면 조건이 참일 때 마다 1을 더하게 되어 영업부개수를 세게 된다.

  

위 형식 1을 잘 이해하였다면 형식 2 부터는 공식에 그냥 맞추기만 하면 된다.

 

형식 2 

=sum( (조건1) * (조건2) * 계산범위)

 형식1과 똑 같은데 조건이 더 있다.

ex)

{=sum(($a$5 : $a$20 = "영업부") ($b$5:$b$20 >25000)  * $c$5:$c$20)}

형식 3

=sum( if(조건, 계산범위))

 형식1과 같이 조건을 만든다.

ex)

{=sum(if($a$5 : $a$20 = "영업부", $b$5:$b$20))}

형식 4

=sum( if( (조건1) * (조건2), 계산범위))

형식3과 똑 같은데 조건이 더 있다.

ex)
{=sum(if(($a$5 : $a$20 = "영업부") ($b$5:$b$20 >25000) $c$5:$c$20))}
 

댓글 0

답글 보기
  • 답글
답글 쓰기